지시간) BBT-877과 같은 IPF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용자메뉴

파스코리아

과학과 기술과 인간사이에 TAKEI가 있습니다.

지시간) BBT-877과 같은 IPF > 공지사항

지시간) BBT-877과 같은 IPF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test
댓글 0건 조회 592회 작성일 25-02-13 15:27

본문

지난 7일(현지시간) BBT-877과 같은 IPF 치료제로 개발 중이던 미국의 플라이언트 테라퓨틱스(PLRX)의 PLN-74809(프로젝트명벡소테그라스트)가 임상 2b/3상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해당 소식이 국내 증권시장에 알려진 지난 3거래일간 브릿지바이오 주가 상승률은 누적 36.


현재 IPF 치료제로 개발 중인.


앞서 나스닥 기업 플라이언트 테라퓨틱스는 지난 7일 독립적인 자료 및 안전성 모니터링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벡소테그라스트'(개발명 PLN-74809)'의 임상2b상 환자 등록 및 투약을 자발적으로 중단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자본시장의 분석에 따르면, 해당 임상 규모와 환자 모집이 충분히 진행된 상황을.


현재 개발 단계에 있는 IPF 치료제 중 개발 일정상 선두에 있는 후보물질은 △베링거인겔하임의 ‘네란도밀라스트’와 △브릿지바이오의 BBT-877 △플라이언트 테라퓨틱스의 ‘벡소테그라스트’(PLN-74809) 등이 있다.


네란도밀라스트의 경우 2024년 9월 주평가지표를 달성하며 임상 3상을 종료했다.


김 연구원은 "Pliant의 인테그린 저해제벡소테그라스트(개발코드명 PLN-74809)의 320mg 용량군의 경우 24주 시점에서 투약군 베이스라인 대비 노력폐활량(FVC) 저하가 FVC는 67% 감소했다"며 "글로벌, 국내 관련 기업이 24주 시점 데이터로 전술된 값을 상회하는 결과 도출 시 유의미하게 주목받을 수 있을.


저해제 네란도밀라스트(BI 1015550)는 지난 9월 임상에서 1차 평가변수를 충족했다는 톱라인 데이터를 발표한 상태다.


다만 부작용으로 인한 중단 비율이 높은 탓에 추가 데이터 확인이 필요하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플라이언트는 인테그린 저해제 ‘벡소테그라스트’에 대한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다.


타깃으로 임상 중·후기 단계에 있는 기업은 많지 않기 때문에 관심이 쏠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세계적으로 임상 2~3상 단계에 있는 특발성 폐섬유증 신약으로는 브릿지바이오의 BBT-877을 비롯해 베링거인겔하임의 ‘네란도밀라스트’, 플라이언트 테라퓨틱스의 ‘벡소테그라스트’ 등이 있다.


플라이언트는 인테그린 저해제 ‘벡소테그라스트’가 현재 임상 2상 중이다.


기존 치료제들과 달리 FVC (노력폐활량) 개선, 잠재적인 섬유화의 역전도 제시하고 있는 데이터들을 도출하고 있다.


브릿지바이오의 BBT-877은 국내에서 유일하기 임상 중·후기 단계에 있는 개발사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리포트에 따르면 베링거인겔하임의 경우 PDE4B 저해제인 네란도밀라스트가 현재 임상3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유효한 효능을 보여주었지만 부작용으로 인한 중단 비율이 높아 추가적인 데이터의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마르키사액상


플라이언트의 경우, 인테그린 저해제인벡소테그라스트가 임상 2상 단계에.


플라이언트의 경우, 인테그린 저해제인벡소테그라스트가 임상 2상 단계에 있으며 잠재적인 섬유화의 역전을 제시하는 데이터들을 도출하고 있다.


브릿지바이오는 오토택신 저해제인 BBT-877의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오는 10월 독립적인 자료 모니터링 위원회(IDMC) 결과 및 내년 4월 탑라인 결과 확보가.


12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미국 생명공학기업 플라이언트 테라퓨틱스는 지난 9일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PLN-74809'(성분명벡소테그라스트)의 유효성·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국내 임상 2b·3상 계획서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


진행 중인 다국가 임상시험 중 국내 환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파스코리아. All Rights Reserved.